티스토리 뷰
윈도우 가상메모리 설정하기
컴퓨터나 노트북의 사양이 낮을 때, 최적화에 대해서 정보를 많이들 검색해보실겁니다. 아무래도 최적화를 하고나면 성능에서 오는 불편함이 조금은 개선되니 말입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윈도우 가상메모리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현재 윈도우10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일단 어떤 버전을 쓰시던 '제어판'으로 들어가주시면 됩니다.
제어판으로 이동하셨다면 우측 상단의 검색창에 '시스템'이라는 문구를 적어넣어주시고 나온 결과에서 시스템을 클릭하여 들어가주시면 됩니다.
또는 내 컴퓨터 아이콘에 우측 마우스 클릭을하고, '속성'을 눌러주셔도 위와 같은 창을 보실 수 있습니다.
'시스템'창에서는 컴퓨터의 사양과, 이름, 정품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 곳에서 중앙 우측 부분을 보시면 '설정 변경'부분이 있습니다. 클릭해서 들어가주세요.
창이 나오면 '고급'탭으로 이동하고 성능 부분의 '설정'을 클릭하여 들어갑니다.
성능 옵션에서도 역시 '고급'탭으로 이동하여 변경 버튼을 눌러줍니다.
가상 메모리 창이 떴다면, '사용자 지정 크기'를 선택해 자신의 램에 약간 상회하도록 값을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혹은 이 설정이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최상단에 위치한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를 선택해주셔도 무방합니다.